티스토리

Haru_Coding
검색하기

블로그 홈

Haru_Coding

leeyookoo.tistory.com/m

yukuda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메타코딩]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with JPA 9강 - 톰켓이란? * 웹서버 정적인 파일을 응답해줌. 웹서버 : 아파치 자바코드와 같은 아파치가 이해하지 못하는 파일 요청이 오면 톰켓에게 넘긴다 톰켓은 JSP 파일을 컴파일하여 html파일로 변환 후 웹 브라우저로 response한다. https://youtu.be/fBcL6hPckyA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3.
  • [메타코딩]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with JPA 8강 - HTTP가 무엇인지 궁금해요! * 소켓통신 장점 : 계속 연결되어 있음 단점 : 연결 된 수가 많아질수록 부하가 증가 * HTTP 통신 : stateless 방식을 이용 장점 : 부하가 적음 단점 : 기존 연결했던 사용자가 누군지 모름 HTTP의 목적 : Html(확장자)인 문서를 전달 * HTTP의 유래 스위스의 cern 연구소에서 학자들이 논문 발표전 자신의 주제와 동일한 내용의 논문을 읽어보고 발표해야 하기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팀버너스리'가 한 대의 서버에 모든 논문을 올리고 이를 열람하는 것에서 시작 됨. 강의 주소 : https://youtu.be/pifmwZWWbuY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3.
  • [메타코딩]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with JPA 7강 - OOP 관점에서 모델링이란? Class Car { int id; (PK) String name; String color; Engine engine; TimeStamp createDate; TimeStamp updateDate; } Class Engine { int id; int power; TimeStamp createDate; TimeStamp updateDate; } JPA 자동생성 Class EntityDate { TimeStamp createDate; TImeStamp updateData; } 기존 Car, Engine 클래스에 EntityDate를 상속 Class Card extends EntityDate {} Class Engine extends EntityDate {} - 방언 처리가 용..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3.
  • [메타코딩]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with JPA 6강 - 영속성 컨텍스트란 무엇인가요? 영속성 : 데이터 ---> 영구적으로 저장! DB ( MySQL을 이용할 예정) 컨텍스트 : context (대상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다 갖고 있다는 것) 영속성 컨텍스트를 통해 자바는 DB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고, 데이터가 변한다면 영속성 컨텍스트를 통해 동기화를 진행한다. - JPA는 DB와 OOP의 불일치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DB는 객체저장 불가능) DB는 Player 이대호의 teamId는 Integer라는 데이터를 갖고있는거지, team 테이블의 Id, Name, Year 3가지 데이터인 오브젝트를 갖지 못한다. 자바가 주도권을 쥐고 있는 모델을 만들 수 있다. https://youtu.be/tXyDmqoMmKE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3.
  • [메타코딩]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with JPA 5강 - ORM이란 무엇인가요? Object Relational Mapping ORM -> 나의 하인! 자바와 DB의 데이터 타입은 다르다! 기존 순서는 DB의 데이터를 자바세상에 모델링 하는 것이다. ORM은 자바세상의 데이터를 DB세상에 매핑한다. JPA는 DB 커넥션, 쿼리전송 및 데이터 변환과 같은 단순 반복 작업을 쉽게 처리하게 해준다. https://youtu.be/4CRpndN3tP0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3.
  • [메타코딩]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with JPA 4강 - JPA란 무엇인가요? 1. JPA란? 1) JPA는 Java Persistence API 이다. 2) JPA는 ORM 기술이다. 3) JPA는 반복적인 CRUD 작업을 생략하게 해준다. 4) JPA는 영속성 컨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5) JPA는 DB와 OOP의 불일치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DB는 객체저장 불가능) 6) JPA는 OOP의 관점에서 모델링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상속, 콤포지션, 연관관계) 7) 방언 처리가 용이하여 Migration하기 좋음. 유지보수에도 좋음. 8) JPA는 쉽지만 어렵다. - Persistence(영속성)은 데이터를 생성한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더라도 사라지지 않는 데이터의 특성을 의미한다. 영속성은 파일 시스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혹은 객체..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3.
  • [메타코딩]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with JPA 3강 - MessageConverter가 궁금해요! 자바 Object를 누군가에게 전송할 때 JSON으로 컨버팅 해주는 것 자바 프로그램 ----------------------------------------------> 파이썬 프로그램 MessageConverter: Jackson request(요청) JSON BufferedWriter @RequestBody -> BufferedReader 이다. https://youtu.be/-5r52dt2HcU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3.
  • [메타코딩]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with JPA 2강 - 필터란 무엇인가요? 필터 = 문지기 - A 나라 성 : 톰캣 filter(web.xml) - 왕의 집 : 스프링 컨테이너 인터셉터(AOP) - 어노테이션 ( 주석 + 힌트 ) 어노테이션의 역할 : 객체 생성 @Component -> 클래스를 메모리에 로딩 @Autowired -> 로딩된 객체 해당 변수에 집어 넣어 타입이 A인 것이 있으면 오토와이어시 a라는 변수에 Heap 메모리의 A가 주입된다. 이를 DI라 한다. https://youtu.be/mAFLNA9MYg8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3.
  • [메타코딩]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with JPA 1강 - 스프링의 핵심은 무엇인가요? 1. 스프링이란? 1) 스프링은 프레임워크이다. 2) 스프링은 오픈소스이다. 3) 스프링은 IoC 컨테이너를 가진다. 4) 스프링은 DI를 지원한다. 5) 스프링은 엄청나게 많은 필터를 가지고 있다. 6) 스프링은 엄청나게 많은 어노테이션을 가지고 있다. 7) 스프링은 MessageConverter를 가지고 있다. 기본값은 현재 Json이다. 8) 스프링은 BufferedReader와 BufferedWriter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9) 스프링은 계속 발전중이다. 2. IoC(Inversion of Controll / 제어의 역전) 주도권을 스프링이 갖는다. class : 설계도 object : 실체화가 가능한 것 Instance : 실체화 된 것 3. DI(Depen..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3.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